728x90 SMALL 부가세신고2 오피스텔 사무실 임대 사업자 부가세 셀프 신고 팁 - 임차인 변경시 등록하기 간이 사업자가 아닌 일반 사업자는 년도 중 2회 부가세 신고를 해야 하는데요, 저의 경우,한번은 기간을 착각해서 늦게 신고 하는 바람에...불필요한 가산세금까지 납부했던 경험이 있어서,7월과 1월이 되면 미루지 말고 바로 해야되는 업무로캘린더에 쾅쾅 박아두고 진행하고 있습니다. 부가세 신고는1월과 7월 말일까지가 아니라25일까지입니다! 저의 경우, 일반 직장인으로만 생활하다가,래다닌 첫회사에서 받은 퇴직금을 밑천으로사무실 용도의 오피스텔을 구입하여 월세를 받고 있는데요, 임대 사업을 하는 것은 처음이라,여러 에피소드가 처음에 많았지만..우여곡절 끝에 일단 일반 임대사업자로 신청하고지금까지 운영하고 있어요...!ㅋㅋㅋ(간이로 했었어도... 되었을텐데 ...아무튼 흠흠 - ) 그래도 사무실 목적이다보니,.. 2024. 7. 15. 일반과세자 부가세 신고 방법 알고 보면 쉬워요, 직접 해봐요! 나는 일반과세자 오피스텔 임대사업자다...! 매년 1월과 7월이면 부가세 신고를 최우선 순위로 두고 잊지않기위해서 체크를 한다. 왜냐구.....? 첫해에 멍때리다가 기간 놓쳐서 가산세를 냈기 때문이다 ㅋㅋㅋㅋㅋㅋ 지난 10년간 회사에서 근무하면서 나름 소득세를 다루는 일을 했더랬다. 그래서 홈텍스와는 낯설지 않은 일상이긴했는데.... 부가세 이녀석의 신고일이 나의 루틴과는 조금 달라서 나도 모르게 착각을 하고 날짜를 그냥 지나친 것이다. 무엇이든 정확하게 알 때까지 더블체크 트리플 체크를 하는게 중요하단 걸 이때 또 가산세를 내며 쓰라리게 배웠다. 얼마 안한다면 안하는 가산세이지만.. 불필요한 지출이니 맘이 쓰라린것은 어쩔 수 없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이 만약 그 기간을 지나친 상황이라면.. 더는 지체하.. 2024. 1. 14.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