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일반과세자
오피스텔 임대사업자다...!
매년 1월과 7월이면
부가세 신고를 최우선 순위로 두고
잊지않기위해서 체크를 한다.
왜냐구.....?
첫해에 멍때리다가 기간 놓쳐서
가산세를 냈기 때문이다 ㅋㅋㅋㅋㅋㅋ
지난 10년간 회사에서 근무하면서
나름 소득세를 다루는 일을 했더랬다.
그래서 홈텍스와는
낯설지 않은 일상이긴했는데....
부가세 이녀석의 신고일이
나의 루틴과는 조금 달라서
나도 모르게 착각을 하고
날짜를 그냥 지나친 것이다.
무엇이든 정확하게 알 때까지
더블체크 트리플 체크를 하는게 중요하단 걸
이때 또 가산세를 내며 쓰라리게 배웠다.
얼마 안한다면 안하는 가산세이지만..
불필요한 지출이니 맘이 쓰라린것은 어쩔 수 없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이
만약 그 기간을 지나친 상황이라면..
더는 지체하지말고 오늘 당장 신고하고 납부를 해라!!
하루하루 가산세는 올라가니깐...!!
아직 충분한 기간이 남았으니
초보 임대 사업자라도
충분히 혼자서 신고할 수 있도록
부가세 신고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 주의사항 ※
사업자등록 후 개시했지만
매출이 없는 경우에도 "무실적" 신고가 필요하다.
매출이 없는 것에 대한 신고만 진행해주면 되니 어렵지 않다.
그냥 지나치지 말고 고정 스케줄로 적어두자.
1) 부가 가치세?
임대 사업자 중 일반사업자라고 한다면,
월세 외 10%의 부가세를 임차인으로부터 매월 월세와 함께 받고 있다.
일부 초보 임대 사업자는
이때 받은 부가세까지 나의 월세인데
10% 피같은 세금을 낸다고 생각하곤 한다.
애초에 월세 셋팅할 때,
부가세 제외하고 월세 금액이 적정한지 생각해야하고,
별도로 받은 부가세는 내 돈이 아니라
세금 대신 신고해서 납부하기 전까지
"맡아두고 있는 돈"이라고 생각하자.
특히 나처럼 작은 오피스텔 운영하는 임대 사업자라고 한다면,
매입에 대한 세금계산서 받을 일이 거의 없으니....
매입한 부가세가 없어서 차감될 일은 거의 없다.
즉, 내가 임차인으로 받은 부가세는
그대로 납부를 해야한다는 소리이다.
2) 일반 과세자 부가세 신고 방법
세금 신고와 관련해서 홈텍스를 빼놓을 수 없다.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아직 홈텍스 즐겨찾기가 아니라면....
오늘을 기점으로 하시게 될 거예요ㅎ
일단 부가세 신고 방법을 설명하기 전...!!
나의 매출에 대한 부가세를 납부하는 것인데,
임대사업자들이 절대 간과하면 안되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보증금]이다.
보증금은 어짜피 계약 종료와 함께 돌려주니까,
매출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가지고 있는 동안의 돈을 굴린다면
그 또한 소득으로 작용을 할 것이다.
그래서 이 보증금에 대한 "추정소득"을 산출해서
해당 금액에 대한 부가세를 또 납부해야한다.
무슨 멍멍이 소리야? 할 수 있겠지만,
이게 사실이다.
월세 수익에 대한 부가세
그리고 보증금액에 대한 부가세
이렇게 2가지에 대해서
우리는 신고하고 납부를 하는 것이다.
보증금액 입력 부분 때문에
나도 처음에 굉장히 짜증이 났다..ㅋㅋ
보기 좋지 않은 UI 덕에
입력하면서 왜 에러가 뜨는지 몰랐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즘 홈텍스 많이 좋아진 것 같다.
위의 개념만 알면 척척 해내기 쉬워진다.
그럼 함께 일반과세자 부가세 신고 방법을 알아봅시다요!
뭐든지 신고를 하려 한다면..!
일단 [세금신고]를 눌러서
원하는 메뉴를 찾으면 된다.
줄여서 부가세라고 하지만
오늘 우리가 신고할 부가가치세 신고 탭에서
나는 [일반과세자] 이기 때문에
첫번째 메뉴를 선택했다.
일반 사업자, 간이 사업자가
결국 일반 과세 사업자이냐, 간이 과세 사업자이냐
이 차이일뿐...!
참고로 간이 사업자도 부가세 신고는 해야한다. (연 1회)
신고하려고 들어가니 바로 팝업창이 떳다.
지난번부터 홈텍스 세금 신고를 도와주는
세금비서가 생겼다.
어떤걸 체크해야하는지
사이드 채팅창에서 알려주고
대부분의 정보의 일치성 검토를 해주기에
기존 정보가 있는 사람은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이번 한번만 고생하면...ㅎㅎ
다음번엔 조금 더 편할거란 이야기 ^^
요즘 경제가 어렵다보니
부가세 신고 후 납부기한 연장에 대한 안내도 팝업으로 떴다.
그럼에도 신고는 기간내 해야하니,
어려운 시기일지라도 신고기간은 지키도록 하자!
본격적인 부가가치세 신고 화면이 떴다.
처음에는 빨간색 점선 박스의 내용이 안보이는데,
사업자등록번호 옆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채워지는 정보이다.
통상 변화가 없는 정보이니,
간단히 확인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어떤 입력서식이 필요한지 체크하도록 되어있다.
모르겠다면 전체 다 체크해도 되지만,
기본적으로 체크되어있는 항목 외에는
실제론 별로 필요가 없다.
매입을 엄청 하거나
환급을 받아야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말이다.
부동산 임대 공금 가액 명세서가 나온다.
어떤 부동산을 임대중인지 정확한 정보가 나오는데,
기존에 입력했던 정보가 있어서 끌어져왔다.
만약 입력정보가 없다면
갑자기 팝업창이 뜨게 될 것이다.
또는 임대사업 명세 옆의 [작성(수정)하기]를 눌러서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장담컨데... 아마 부가세 신고할 때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 있다면,
이 페이지일 것이다.
그냥 공란으로 넘기고 나면
마지막에 신고하기 직전에
비매칭이 되기 때문이다.
임차인과 작성한 계약서를 꺼내두고
정보를 확인하면서 입력하면 된다.
다음 부가세 신고까지
계속 동일한 임차인이라면
이 입력은 한번만 해두면 넘어갈 수 있다.
다만, 중도에 임차인 변경이 되거나
퇴거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정보를 꼼꼼하게 확인해서 입력해야한다.
하지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
언제든 이전 페이지로 돌아갈 수 있으니깐!
이렇게 입력하고 넘어가면,
지난 6개월간 내가 발급했던
세금계산서의 내용에 근거하여 합계표를 보여준다.
6개월이니 6건의 영수증
그리고 그 공급합계와 세액 합계가 나온다.
단순하게 보면 월세에 대한 부가세만 생각했을 때,
30만원의 부가세를 내면 된다.
종이 세금계산서 받은게 있다면 추가로 입력을 해주고,
전자 세금계산서의 내용 및 전체 내용이 맞다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간다.
그럼 이제 기타 매출분이라는 것이 나온다!
기타 매출분이라는 것이 바로
보증금에 대한 소득을 산출하는 것이라 생각하면된다.
예전에는 세금비서도 없고
자동기입이 되지 않아서
완전 처음 해 본 사람이라면
조금 애를 먹었던 화면이었다.
이제는 자동기입도 잘 되어서 훨씬 편한 느낌이다 :)
만약 이 화면에서 여전해 매출가액의 총합만 보인다면?
부동산 임대공급가액 명세서 옆의 [작성하기]를 눌러보자!
그리고 보증금에 대한 기타소득이
잘 계산이 되었는지 확인하자.
그리고 해당 페이지에서
(4)기타 (정규영수증 외 매출분) 칸에
해당 금액이 잘 입력되어있는지 확인하자.
위의 페이지는
최종 검정을 해주는 페이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어떤 검정이냐하면..!!
계약서 내용을 토대로 산출된 "기타매출" 금액을 포함한
총 과세 금액을 확인하는 페이지이다.
해당페이지에서 아래 보이는 표의 합계와
위에서 명시한 합계가 동일해야 다음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신고 끄 - 읕 ^_^
신고서는 혹시 모르니 한부 저장해두고,
이제는 납부를 하면 된다..!!
여기서 꿀팁 하나!
부가세 신고까지는 항상 잘 끝냈는데,
납부서로 안내를 받은 계좌번호가
예금주 조회가 잘 안되거나,
왜인지 바로 납부가 안되는 경우가
생각보다 잦았다... ㅇ_ㅇ..
그래서 나의 경우는 부가세 신고하고
20분정도 이상의 시간이 흐른 뒤에
해당 계좌번호로 납부를 한다.
그럼 문제없이 한번에 오케이가 되었다 ^^
( 그 전까지.. 음청 스트레스 받은거 안비밀..ㅋ)
이번달 월세로 받은 돈 중...
296,500원은 깔끔하게 부가세로 입금하고..!
나머니는 내 텅장으로..... 슝슝...
사업자 통장에 둔다고 이자가 높게 붙는건 아니라서,
월세 받으면 세금계산서 발송하고, 바로 이동시킨다.
입금하고 10분정도 흐르면
홈텍스에서 조회를 통해서
부가세 신고 및 납부까지 완료된 것 까지
확인 완료 !!
3) 평소에 챙기면 부가세 신고에 도움되요!
- 수리를 해야하는 일이 생긴다면 전자계산서 발급 가능하다면 요구하자.
- 은행 공인인증서에 지출한 금액에는 부가세가 포함된다. 은행사이트에서 기업용 공인인증서 발급에 따른 세금계산서 발행 메뉴가 있으니, 공인인증서 새로이 발급 받을 때마다 세금계산서도 바로 발급 받도록 하자.
+) 마치며
좌충우돌....!
아직은 작고 소중한 나의 사업들의 성장과 함께,
블로그에 들러주시는 모든 분들께
도움되는 정보들 하나씩 채워볼게요!
오피스텔 임대사업자 과세 사업자 부가세 신고 방법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 관심어린 댓글과 반응 부탁드려용!
'사업 운영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셀러 위탁 판매에서 사입 판매 전환기 - 택배 박스부터 물품 구입하기 (0) | 2024.03.04 |
---|---|
1688 구매대행 첫 장애물 로그인 에러 1688 계정 동결 해결하기 (1) | 2024.02.26 |
쿠팡 초보 셀러의 첫 주문과 첫 반품 그리고 반품 배송비 (2) | 2024.02.14 |
일반 사업자 전자 세금계산서 발행하는 방법 (3) | 2024.01.13 |
나는 어떻게 오피스텔 임대 사업자가 되었나 (0) | 2024.01.12 |